장애인 건강문제는 장애에 대한 이해와 인권의 측면에서 이해해야 임종한(코코뉴스 발행인, 인하의대 교수) 우리사회에서 후천적 장애 발생이 증가하고 고령화가 빠르게 전개되면서, 장애 인구의 돌봄과 보건‧의료 서비스 욕구가 급증하고 있다. 2013년 통계에 의하면 우리사회에서 가구원 중 장애인이 있는 가구는 2,442,442가구로 추정되어 전체 17,574,018가구의 13.9%로 나타난다. 이는 2005년도에 장애인이 있는 가구가 1,944,791가구로 전체 가구의 12.3%이였던 것에 비해“장애인 건강권법 시행령, 당사자 입장에서 작성되어야..” 계속 읽기
태그 아카이브: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우리 마을은 모두가 건강해요 의료사협 장애인주치의 사업 1년
이하나 allmytown@gmail.com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금 장애인주치의사업 1년차 성과발표대회 열려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하 의료사협)은 2016년 5월 25일 장애인주치의 사업 1년차 성과발표대회를 서울 여의도에 있는 한국장애인개발원 이룸센터 누리홀에서 열었다. 본 사업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2014년 기획 아젠다 중심의 성과관리모델 개발 시범사업(장애인분야)에 의료사협연합회 외 14개 기관이 공동참여한 사업이다. 공동모금회의 새로운 배분방식 시범사업으로 의료사협연합회가 중앙사업단을 꾸려 각 단위들의 사업을 지원, 관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사업기간은“우리 마을은 모두가 건강해요 의료사협 장애인주치의 사업 1년” 계속 읽기
[시론]폐손상외 가습기살균제 피해 규명 시급하다
임종한(인하대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ekeeper@inha.ac.kr 기업이 만든 제품으로 시민들의 피해중 가장 큰 규모의 피해가 가습기살균제 피해입니다. 2012년 피해자가족들은 관련업체를 고소했지만, 검찰은 인과관계 규명이 어렵다는 이유로 ‘시한부 기소중지’ 결정을 합니다. 이후 피해자는 수두룩한데 가해자는 없는 미궁에 빠지고 맙니다. 현재까지 피해자자 모임에서 파악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는 1천528명이다. 이중 정부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로 인정 하는 피해자수는 230여명 정도입니다. 너무나도“[시론]폐손상외 가습기살균제 피해 규명 시급하다” 계속 읽기